반응형

assertions 3

JUnit - Assertions 조건부 실행

테스트 조건부 실행테스트 해야하는 클래스가 소수라면 Assumptions에서 제공하는 메서드들을 사용해서 테스트 실행을 막을 수 있겠지만, 규모가 커지거나 테스트할게 많아진다면 코드 가독성도 떨어지게 된다.JUnit에서는 상황에 따라 테스트를 조건에 맞게 실행할 수 있는 어노테이션들을 제공해준다. @DisabledDisabled 어노테이션이 붙은 테스트는 무조건 실행 계획에서 제외한다. 이는 Assumptions와 동일하게 무시되며, 메서드가 아니라 클래스 레벨에도 적용이 가능하다.@Disabled를 사용할때 value라는 메서드를 통해서 이유를 명시할 수 있는데 JUnit 개발팀에서는 간단하게라도 이유를 추가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. import org.junit.jupiter.api.Disable..

테스트코드 2024.05.20

JUnit - Assertions 실행 메서드

Assertions에서 제공하는 실행 메서드실행 기반의 Assertions란 익셉션을 Throw 했는지, 혹은 Exception을 Throw 하지 않고 제대로 통과가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메서드다.assertAll여러 Executable을 인자로 받고 실행하여 모든 Executable이 Exception을 throw하지 않는지 검증한다. 이 때, Exception을 throw하는 Executable이 하나라도 있다면 실패처리되며 여러 Executable을 가변인자, Collection, Stream 형태로 전달한다. import com.example.springtest.jUnit.assertions.comparison.annotation.TestToFail;import org.junit.jupit..

테스트코드 2024.05.17

JUnit - Assertions 비교 메서드

AssertionsAsssertions는 테스트 케이스의 결과를 검증하는 메서드를 제공하는 클래스다. fail무조건 테스트 케이스를 실패로 만드는 메서드이며, 인자로 Throwable을 제공할 수 있다. import com.example.springtest.jUnit.assertions.annotation.TestToFail;import static org.junit.jupiter.api.Assertions.fail;@Target(ElementType.METHOD)@Retention(RetentionPolicy.RUNTIME)@Testpublic @interface TestToFail {}public class FailExampleTest { @TestToFail void test1() {..

테스트코드 2024.05.16
반응형